-
자녀장려금 놓치지 마세요~! -1부직장인 이야기 2015. 5. 12. 15:55
안녕하세요 애플픽입니다.
이번에 정부에서 행복한 임신과 출산을 장려하고 저소득 가구의 자녀양육 부담을 경감하기 위해 '15년부터 지급해준다고 합니다.
여러분들도 신청대상인지 확인하시고 기한내에 접수해서 꼭 혜택 받으시기 바랍니다.
어차피 우리가 열심히 일해서 내고있던 세금으로 하는 것 알죠?
우선 자신이 자녀장려금 신청대상인지부터 확인해봅시다.
신청대상
가구원 구성에 따른 총급여액 등 및 자녀장려금 지급액
구분
총급여액 등
자녀장려금
홑벌이 가족가구
2천100만원 미만
부양자녀 수 × 50만원
2천100만원 이상 ~ 4천만원 미만
부양자녀 수 × [50만원-(총급여액 등-2,100만원)×1,900분의 20]
맞벌이 가족가구
2천500만원 미만
부양자녀 수 × 50만원
2천500만원 이상 ~ 4천만원 미만
부양자녀 수 × [50만원-(총급여액 등-2,500만원)×1,500분의 20]
- 홑벌이 가족가구 : 배우자 또는 부양자녀가 있는 가구로서 맞벌이 가족가구가 아닌 가구
- 맞벌이 가족가구 : 전년도 연간 거주자와 배우자 각각의 총급여액 등이 3백만원 이상인 가구
[한줄 요약]
○ 홑벌이/맞벌이의 총 연간급여액이 4,000만원미만이면
자녀당 평균42만원
○ 총 연간급여액이2,100만원도 안된다면
자녀당50만원(맞벌이는2,500만 이하시)
음.. 자녀 1명당 대략50만원정도받을 수 있겠네..하시죠?
그러나 엑셀하는 남자 애플픽은 위의 지급조건을 보시면 저와 같은 홑벌이가족보다 는 맞벌이가족들에게 혜택이 좀더 많아 보이는 느낌이 듭니다.
그래서 엑셀로 홑벌이/맞벌이 가족의 자녀장려금 지급액을 비교해 봅니다.
지급기준
구분
홑벌이
맞벌이
자녀당
50
50
총급여 한도
4,000
4,000
총급여 공제액
2,100
2,500
우선, 시뮬레이션을 하기 위해 기준을 세웁니다. 그리고 소득금액과 자녀수에 따라 계산을 해봅니다.
홑벌이 기준시
맞벌이 기준시
(단위 : 만원)
총급여
자녀수(A)
총급여
자녀수(B)
GAP(A-B)
1명
2명
3명
4명
5명
1명
2명
3명
4명
5명
1명
2명
3명
4명
5명
2,000
50
100
150
200
250
2,000
50
100
150
200
250
-
-
-
-
-
2,100
50
100
150
200
250
2,100
50
100
150
200
250
-
-
-
-
-
2,200
49
98
147
196
245
2,200
50
100
150
200
250
▲1
▲2
▲3
▲4
▲5
2,300
48
96
144
192
239
2,300
50
100
150
200
250
▲2
▲4
▲6
▲8
▲11
2,400
47
94
141
187
234
2,400
50
100
150
200
250
▲3
▲6
▲9
▲13
▲16
2,500
46
92
137
183
229
2,500
50
100
150
200
250
▲4
▲8
▲13
▲17
▲21
2,600
45
89
134
179
224
2,600
49
97
146
195
243
▲4
▲8
▲12
▲16
▲20
2,700
44
87
131
175
218
2,700
47
95
142
189
237
▲4
▲7
▲11
▲15
▲18
2,800
43
85
128
171
213
2,800
46
92
138
184
230
▲3
▲7
▲10
▲13
▲17
2,900
42
83
125
166
208
2,900
45
89
134
179
223
▲3
▲6
▲9
▲12
▲15
3,000
41
81
122
162
203
3,000
43
87
130
173
217
▲3
▲6
▲8
▲11
▲14
3,100
39
79
118
158
197
3,100
42
84
126
168
210
▲3
▲5
▲8
▲10
▲13
3,200
38
77
115
154
192
3,200
41
81
122
163
203
▲2
▲4
▲7
▲9
▲11
3,300
37
75
112
149
187
3,300
39
79
118
157
197
▲2
▲4
▲6
▲8
▲10
3,400
36
73
109
145
182
3,400
38
76
114
152
190
▲2
▲3
▲5
▲7
▲8
3,500
35
71
106
141
176
3,500
37
73
110
147
183
▲1
▲3
▲4
▲6
▲7
3,600
34
68
103
137
171
3,600
35
71
106
141
177
▲1
▲2
▲3
▲4
▲6
3,700
33
66
99
133
166
3,700
34
68
102
136
170
▲1
▲2
▲3
▲3
▲4
3,800
32
64
96
128
161
3,800
33
65
98
131
163
▲1
▲1
▲2
▲2
▲3
3,900
31
62
93
124
155
3,900
31
63
94
125
157
▲0
▲1
▲1
▲1
▲1
4,000
30
60
90
120
150
4,000
30
60
90
120
150
-
-
-
-
-
계산결과를 보면 2,600만원~3,200만원 사이에서 홑벌이와 맞벌이 가족에 대한 지원금 차이가 가장 많이 발생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근로소득자들의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소득구간이 아이러니하게 가장 차이가 많이 발생합니다.
[연봉과 근로소득별 인수구]
연소득
해당 인구
전체 근로자 중 비중
1,200만 미만
238만6000명
12.90%
2,400만 미만
698만5000명
37.80%
3,600만 미만
449만3000명
24.30%
4,800만 미만
237만4000명
12.80%
4,800만이상
225만1000명
12.20%
(자료출처 : 정부 정책브리핑 자료(링크))
지급하는 정부의 입장에서 생각해보면 이 구간에 신청자들이 가장 많기 때문에 GAP을 많이 줘서 재원부담을 줄였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어차피 이벤트성 지원금은 언제 사라질지 모르는 것이니까요.
자녀 1명당 50만원이라면 물론 적은 금액은 아니지만, 아마 저처럼 애기한테 선물하나 사주고 외식 몇 번할 수 있는 정도 일거라 생각합니다.
정리되는데로 2부에서는 실제 국세청 홈텍스를 이용해서 신청하는 방법을 소개하겠습니다.
'직장인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윈스톰 배터리 교체 DIY (0) 2015.06.01 부동산 양도소득세 계산하기 (0) 2015.05.20 핸드폰 대란 (0) 2014.03.04 짧은 생각… (0) 2014.02.10 블랙프라이데이(Black Friday) (0) 2013.11.28